한국여성잡지의 식품광고를 통해본 한국인 식생활 文化의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6 19:33
본문
Download : 한국여성잡지의 식품광고를 통해본 한국인 식생활 문화의 변천.hwp
…(To be continued )
순서
1. 60년대 이후의 한국인 식생활 變化 박미아 외(1992). 한국인의 식품 및 영양섭취상태 추이(1969-1989).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
Download : 한국여성잡지의 식품광고를 통해본 한국인 식생활 문화의 변천.hwp( 61 )
1. 60년대 이후의 한국인 식생활 변화 박미아 외(1992). 한국인의 식품 및 영양섭취상태 추이(1969-1989).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 , 한국여성잡지의 식품광고를 통해본 한국인 식생활 문화의 변천의약보건레포트 ,
다. 그러나 89년 현재 곡류의 섭취량은 총 식품섭취량의 34.9%로 식품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아 곡류 중 쌀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 곡류의 49.9%에서 79년 86.9%로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보리혼식을 장려하는 국가차원의 식량정책이 1977년에 풀린 이후 쌀 소비규제 조치가 해제되어 쌀 소비가 급격히 증가된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change(변화)는 80년대에도 계속되어 89년에는 전체 곡류의 91.8%를 나타내었다. 또한 보리의 섭취량이 69년 171.9g이었던 이후로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여 89년에 4.3g으로 보리 혼식이 장려되었던 시기를 제외하고는 보리의 섭취량은 극히 미미하다.
식물성 식품 중 양질 단백질의 주요 급原因 콩류이 섭취량은 69년에 24.9 g이었고, 79년에 34.9g이었으며 89년에는 55.5g으로 69년에 비해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여 양질의 단백질 섭취에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여진다.
설명
한국여성잡지의 식품광고를 통해본 한국인 식생활 文化의 변천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1. 60년대 이후의 한국인 식생활 change(변화) 박미아 외(1992). 한국인의 식품 및 영양섭취상태 추이(1969-1989).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5). P.510-512.
곡류의 섭취량은 69년에 559g이였던 것이 차츰 감소하여 79년에는 478g, 89년에는 355g으로 감소하여 전체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 감소에 큰 effect(영향) 을 미쳤다. 콩류 섭취량의 증가는 콩의 섭취량 뿐아니라 두유 등 콩류가formula(공식)품의 생산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아
감자류는 그 섭취량의 기복이 심하여 69년에 75.6g이었던 것이 79년에는 22.9g으로 1/3정도로 줄었다가 차츰 증가하여 89년에는 55.3g으로 늘어났으나 그 섭취량이 연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아
식물성 식품 중 곡류 다음으로 섭취량이 많은 채소류는 69년에 총 271g이었던 것이 해마다 증감을 보이면서 79년에 288g을 섭취하여 약간의 증가를 보이다가 그 이후 86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89년에는 224g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