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1:50
본문
Download :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hwp
여기에 희로애락의 감정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중(中)이라 하고, 일체의 외부의 影響에 좌우되지 않는 주체적인 중심을 가져야 한다고 가르친다.
Ⅱ. 중용의 자세-치우침이 없이 꼭 알맞은 행동
<중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아 전반부는 중(中)에 관해서이고 후반부는 성(誠)에 관해서 이다. 다시 말해 인간 개체의 내면적 주체로서의 성(性)을 천인 합일의 논리로 설명(說明)하였다.중용에나타난떨림 ,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도에 합당하지 않은 삶을 영위하고 있는 인간들의 삶에 있어서 부과되는 과제課題는 도에 합당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道)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 즉 도를 닦는 것이다. 중용(中庸)이란 너와 나의 같은 마음인, 인간의 속마음이 외적 상황에 가장 알맞게 발현된 상태이기 때문에, 중용이 실현되면 다른 모든 존재자는 하나 됨을 바탕으로 하면서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게 된다된다. <중용>의 철학적 대원리는 제1장에 잘 드러나 있다아 곧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은 살려는 의지, 살려는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아 이러한 성(性)을 따르는 것이 도인데, 도(道)란 사람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도리라고 볼 수 있다아
도(道)가 아닌 인간의 행위는 살려는 의지에 출발된 것이라 하더라도 남과 공존하지 않고 혼자만 살려는 방향으로 나타남으로써 서로 투쟁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고 그 결과 파멸을 초래하게 된다된다.
주자는 중용의 槪念을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않고 꼭 알맞은 것이 중(中)이며, 언제나 변함없이 일정하고 바른 것이 용(庸)이다고 규정했다.
<중용>의 후반부는 중용을 성취하는 방법인 성(性), 즉 정성됨에 대하여 설명(說明)하고…(투비컨티뉴드 )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이 도를 닦는 것을 가르침이라고 定義(정이)할 수 있다아
이러한 성(性), 도(道), 교(敎)는 모두 다 하늘에서 나오는 것인데, 실은 나 자신이 해결해야 할 과제課題와 동일하다.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
순서
Download :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hwp( 54 )




중용에나타난떨림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중용에 나타난 ‘떨림’의 의미에 상대하여 쓴 글입니다. 따라서 중용은 이러지도 저러지고 않는 비주체적인 태도가 아니라 대상의 일부분이 아닌 전체를 보고 객관적으로 가장 올바르고 알맞은 방법을 찾는 적극적이고 주체적은 삶의 태도인 것이다.